목록Spring/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11
Sangwon Coding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NMy4/btqztt9ZFkq/fAfmRBKvqK2fhuJy4gU440/img.jpg)
안녕하세요! 2번째 포스팅에서 이어서 바로 포스팅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장에서는 예제를 위한 이클립스와 스프링의 기본 설정을 하였고 2장부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한 학습 목표는! 1.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의존성 주입'에 대한 이해와 테스트 2. 스프링에서 XML을 이용하는 객체 관리 방법 3. 스프링의 테스트 환경 구축 스프링의 주요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습니다. 1. POJO 기반의 구성 - 스프링의 성격 자체가 가벼운 프레임워크지만 내부에는 객체 간의 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프링은 다른 프레임워크들과 달리 이 관계를 구성할 때 별도의 API 등을 사용하지 않는 POJO(Plain Old..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AoLu/btqzuQb33Yg/ZSWYQKxKhI1mK5ioPxQWDk/img.jpg)
안녕하세요! 개발을 위한 준비(2)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 본격적으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먼저 이클립스에서 화면 오른쪽 상단의 'Perspective'를 'Spring'으로 지정한 후 새로운 프로젝트(Spring Legacy Project)를 생성합니다. 선택하면 아래 화면 같이 스프링 프로젝트를 Maven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는 'Spring MVC Project'를 이용해서 생성하고 패키지명은 'org.zerock.controller'로 지정합니다. src/main/java 는 작성되는 코드의 경로 src/main/resources 는 실행할 때 참고하는 기본 경로(주로 설정 파일들을 넣는다.) src/test/java 는 테스트 코드를 넣는 경로 ..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lZN/btqzusJjOmR/sVcXr86spzldDPhXx3ONVk/img.jpg)
안녕하세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개발 준비 시작해보겠습니다. 제가 학습할 교재는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개정판 입니다. 책을 지인에게도 추천을 받았고 실제로 구멍가게 코딩단 카페에서도 질문도 잘 받아주시고 설명도 잘 해주셔서 이 책으로 학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개발 환경설정을 해보겠습니다. 스프링 개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합 개발도구는 Eclipse 기반으로 개발된 Spring Tool Suite(STS)를 이용하거나, Intellij Ultimate 혹은 Eclipse 플러그인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 책은 Eclipse + 스프링 관련 플러그인 혹은 STS를 이용해서 진행한다고 합니다. 먼저 JDK를 설치해야 하는데 JDK 버전은 1.8버전으로 사용한다고 ..